허브 (Hub)
허브는 물리 계층의 장비로, 여러 호스트를 연결하는 포트 역할을 합니다. 네트워크 초창기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스위치나 라우터로 대체되었습니다.
- 특징:
- MAC 주소 사용 X:
허브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개념인 MAC 주소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브로드캐스트 통신:
주소 개념이 없어, 들어온 신호를 연결된 모든 포트로 내보냅니다. 이를 멀티탭과 비슷한 구조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반이중 통신:
- 한 번에 송신 또는 수신 중 하나만 가능합니다 (무전기)
- 무전기처럼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처리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두 호스트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합니다.
- MAC 주소 사용 X:
- 전이중 통신 : 허브와 반대되는 통신이며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통신입니다 (전화)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중 충돌을 감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특히 허브가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처리하면서 발생하는 충돌을 감지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CS (Carrier Sense):
데이터 전송 전에 호스트(노드)가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가 비어있으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고 사용중이라면 네트워크가 비워질 때 까지 기다립니다. - MA (Multiple Access):
여러 호스트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생깁니다. - CD (Collision Detection):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여, 충돌이 발생하면 잼(Jam) 신호를 전송하여 충돌을 알립닏나. 충돌한 데이터는 삭제되며, 충돌한 노드들은 일정 시간 대기 후 데이터를 다시 전송합니다.
스위치 (Switch)
스위치는 허브의 한계를 극복한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로, 전이중 통신을 지원하며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특징:
- MAC 주소 사용:
스위치는 MAC 주소를 학습하고 저장하여 목적지 호스트가 연결된 포트를 알아냅니다.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호스트와 연결된 포트로만 전송합니다. - 충돌 도메인 최소화:
스위치는 각 포트가 독립된 충돌 도메인으로 동작하므로, CSMA/CD 방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전이중 통신: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충돌 없이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 효율성:
허브처럼 모든 포트로 신호를 내보내지 않고, 목적지 포트로만 데이터를 전달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입니다
- MAC 주소 사용:
MAC 주소 학습 기능
포트에 연결된 호스트와 MAC 주소의 관계를 기억합니다. (몇 번 포트에 어떤 MAC 주소가 연결된 호스트인지)
MAC 주소 학습 기능은 MAC 주소 테이블을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포트와 MAC 주소의 매핑관계를 저장해둔 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
- 플러딩 : MAC주소를 학습하지 않았을 때 허브와 같이 모든 포트에 프레임을 전송합니다
- 포워딩과 필터링 : 어떤 포트로 내보낼지(포워딩) 내보내지 않을지(필터링)를 결정합니다
- 에이징 : 특정 시간이 지나면 MAC 주소 테이블 항목을 삭제합니다
허브와 스위치의 비교
계층 | 물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주소 사용 | 사용하지 않음 (브로드캐스트 방식) | MAC 주소를 학습하고 사용 |
통신 방식 | 반이중 통신 (충돌 발생 가능) | 전이중 통신 (충돌 없음) |
충돌 도메인 | 모든 연결된 호스트가 같은 충돌 도메인 | 각 포트가 독립된 충돌 도메인 |
사용 여부 |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 오늘날의 주요 네트워크 장비 |
'CS (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3계층 네트워크 계층 (1) - IP주소와 IPv4, IPv6 (0) | 2024.12.02 |
---|---|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개념 (0) | 2024.12.02 |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과 계층의 관계 (0) | 2024.12.01 |
OSI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0) | 2024.12.01 |
네트워크 계층 모델, 패킷 (2)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