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Computer Science)/네트워크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과 계층의 관계

pigggulggul 2024. 12. 1. 19:21

NIC를 공부하면서 NIC가 1계층인지 2계층인지 헷갈렸습니다. 그렇기에 나름대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NIC(Network Interface Card)는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하드웨어 장치입니다. NIC를 통해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데이터의 물리적 송수신과 변환 과정을 수행합니다.

NIC가 OSI 모델에서 1계층(물리 계층)에 속하는 이유

물리적 데이터 전송 및 수신

NIC는 네트워크 매체(예: UTP 케이블, 광섬유)와 직접 상호작용하여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네트워크 매체로부터 신호를 수신합니다.

  • 데이터가 실제로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물리적 연결을 설정하고 관리합니다
  • 네트워크 매체의 상태와 전송 속도에 맞춰 신호를 생성합니다
  • 네트워크에서 받은 전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만듭니다

NIC는 네트워크 케이블과 직접 연결되며,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송수신하기에 물리 계층에 속합니다.


NIC와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의 연결성

NIC는 물리 계층의 기능 외에도 데이터 링크 계층의 일부 기능을 지원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역할

  1. MAC 주소 관리:
    • NIC는 고유한 MAC 주소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LAN 내에서 장치를 식별합니다
    • 프레임 전송 시 MAC 주소를 목적지와 송신지로 설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2. 프레임 전송 및 수신: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생성된 프레임을 네트워크 매체로 전송합니다
    • 네트워크에서 수신한 프레임을 데이터 링크 계층에 전달합니다
      • 이 과정에서 프레임의 오류 검증이나 MAC 주소 필터링 등의 기능도 수행합니다

결론: NIC는 물리 계층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 주소와 프레임 처리를 담당하는 양 계층의 다리 역할을 수행합니다.